발산역 색소질환, 기미 VS 주근깨 차이 그리고 레이저토닝 시술은 어떻게 될까?

안녕하세요. 아름다운 나를 찾는 건강한 약속 강서구 발산역 2번출구에 위치한 피부과, 닥터에버스의원 마곡점입니다.
외모에 대한 아름다움의 기준은 끊임없이 변하지만 색소질환 하나 없는 백옥 같은 피부에 대한 열망은 변하지 않는다 해도 과언이 아니죠. 색소질환이 흐릿하게 보이는 순간 아무리 좋은 화장품을 바르고 홈 케어를 열심히 해준다 하더라도 색소가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색소 치료를 잘하는 피부과에 내원하여 레이저로 반복적으로 시술을 하여 서서히 완화시키는 방법이 최우선입니다. 레이저 시술은 색소 상태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많은 분들이 가장 많이 헷갈려 하는 것이 있다면 바로 기미, 주근깨 차이가 아닐까요? 그래서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미는 무엇일까?
색소질환 중 '기미' 생겨나는 연령대는? 20대 중반 이후부터
강한 자외선에 의해 작용을 하는 것이 특징인데 스트레스가 심할 경우, 생활환경이 변할 경우, 피임을 하는 경우, 호르몬(임산부) 변화될 경우 불규칙한 모양의 갈색 반점이 처음엔 흐릿하게 보이다가 서서히 짙어지게 됩니다. 주근깨와 다른 차이가 있다면 계절에 따라 갈색 반점 색의 농도가 변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외선이 강한 여름철에는 불규칙한 갈색 반점이 뚜렷하게 짙어졌다가 겨울에는 흐릿하게 옅어져 좋아진 것처럼 보이게 되는데 계절에 따라 반복하다가 점점 짙어지게 됩니다. 기미는 주로 진피층에 발생되며 표피 기저층(표피와 진피 사이)까지 멜라닌 색소를 발현하게 되기도 합니다.

기미랑 닮은 주근깨는 무엇일까?
색소질환 중 '주근깨' 생겨나는 연령대는? 주로 10대 ~ 20대 초반
기미.잡티와 다르게 가족의 유전적인 요인이 강하게 작용을 하는 것이 특징인데, 빛을 조금만 쐬어도 쉽게 붉어지는 약한 피부를 가진 사람들한테 깨알 같은 반점 모양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근깨는 기미와 다른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진피층보다 주로 표피층에 발생이 되다 보니 기미.잡티와 같은 색소질환보다는 치료가 훨씬 쉬운 편입니다.

기미 VS 주근깨 레이저토닝 시술의 차이점은?
진피층까지 침투할 수 있는 레이저토닝(베이스토닝, 알렉스토닝 등) 시술을 통해 기미 또는 주근깨와 같은 색소질환을 주변 정상 피부를 손상 없이 안전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데, 기미는 상태에 따라 1064nm, 755nm 파장으로 5회 또는 10회 그 이상 1주 간격으로 반복해서 받아야 서서히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면 주근깨는 표피층에 발생되기 때문에 532nm 파장으로 맞춰 3회 정도 시술을 하면 충분히 피부 톤이 밝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미와 주근깨 모양으로 봤을 때 잘 모르는 경우가 있어서 레이저 시술 시 자칫 잘못하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시술 잘하는 전문의로부터 치료받는 것을 권유 드립니다.

레이저토닝 시술을 반복적으로 계속하면 완치가 될까?
의학적으로 레이저토닝 시술이 색소질환을 치료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완전하게 완치를 할 수 있다는 말을 쓰지 않습니다. 레이저토닝은 짙었던 기미를 최대한 옅어지게 해줌으로써 완화시켜주는 것만으로도 훌륭한 결과를 보여주는 겁니다. 그리고 서서히 좋아지기 시작했다고 해서 관리를 소홀하면 언제든지 다시 재발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색소질환이므로 좋아졌다면 생기지 않게 꾸준히 관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부 피부 타입에 따라 표피성, 진피성 이렇게 복합적으로 골고루 번져 있는 경우도 있는데 치료 전에 병의원에 내원하여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난 이후 레이저 선택을 적절히 할 줄 아는 병원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치료 전 병의원에 내원해서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난 이후 레이저 시술을 받으셨으면 합니다. 이상 색소질환 및 다른 기타 질환, 시술에 대해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강서구 발산역에 위치한 피부과, 닥터에버스 마곡점 하단을 통해 편하게 상담 주세요.


